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도금 품질 관리를 위한 필수 계산법: 초보자도 쉽게 이해하는 도금 계산 가이드
    기술 자료/계산식 및 도구 2024. 11. 24. 10:59
    도금 품질 관리를 위한 필수 계산법: 초보자도 쉽게 이해하는 도금 계산 가이드

    도금 품질 관리를 위한 필수 계산법: 초보자도 쉽게 이해하는 도금 계산 가이드

    도금 공정을 이해하고 품질을 관리하려면 몇 가지 계산을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. 도금 두께, 전류 밀도, 도금 시간 등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간단한 계산법을 소개합니다.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예제와 팁도 함께 확인해보세요!

    1. 도금 두께 계산

    도금 두께를 계산하려면 패러데이의 법칙(Faraday's Law)을 기반으로 계산해야 합니다.

    계산식:

    \[ T = \frac{I \times t \times E \times \eta}{A \times \rho \times F} \times 10^4 \]

    • T (μm): 도금 두께
    • I (A): 전류 (암페어)
    • t (s): 도금 시간 (초)
    • E (g/mol): 도금 금속의 화학당량 (M/n)
    • ρ (g/cm³): 도금 금속의 밀도
    • A (cm²): 도금할 표면적
    • F: 패러데이 상수 (96,485 C/mol)
    • η: 도금 효율 (소수로 표현)

    실무 예제:

    구리로 도금할 때, 도금 효율이 90%라면,

    • 전류 I: 10 A
    • 도금 시간 t: 3600 s (1시간)
    • 표면적 A: 100 cm²
    • 구리의 원자량 M: 63.55 g/mol
    • 전하수 n: 2
    • 화학당량 E: \( \frac{63.55}{2} = 31.775 \) g/mol
    • 구리의 밀도 ρ: 8.96 g/cm³
    • 패러데이 상수 F: 96,485 C/mol
    • 도금 효율 η: 0.9

    \[ T = \frac{10 \times 3600 \times 31.775 \times 0.9}{100 \times 8.96 \times 96,485} \times 10^4 = 119.1 \, \mu\text{m} \]

    즉, 1시간 동안 10A의 전류로 100cm²의 면적에 구리를 도금하면 약 119.1μm 두께의 도금층이 형성됩니다.

    도금 두께 계산기

    2. 도금 시간 계산

    어떤 도금 두께를 얻고 싶을 때, 필요한 도금 시간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.

    계산식:

    \[ t = \frac{T \times A \times \rho \times F}{I \times E \times \eta} \]

    • t (s): 도금 시간
    • T (cm): 도금 두께 (μm를 cm로 변환: μm ÷ 10,000)
    • A (cm²): 도금할 표면적
    • ρ (g/cm³): 도금 금속의 밀도
    • F: 패러데이 상수 (96,485 C/mol)
    • I (A): 전류
    • E (g/mol): 도금 금속의 화학당량
    • η: 도금 효율 (소수로 표현)

    실무 예제:

    구리 도금에서 원하는 두께가 5μm이고, 도금 효율이 90%라면?

    • 도금 두께 T: \( \frac{5}{10,000} = 0.0005 \) cm
    • 표면적 A: 100 cm²
    • 구리의 밀도 ρ: 8.96 g/cm³
    • 패러데이 상수 F: 96,485 C/mol
    • 전류 I: 10 A
    • 화학당량 E: 31.775 g/mol
    • 도금 효율 η: 0.9

    \[ t = \frac{0.0005 \times 100 \times 8.96 \times 96,485}{10 \times 31.775 \times 0.9} = \frac{43,225.28}{285.975} \approx 151 \, \text{초} \] \[ \text{시간 (시간)} = \frac{151}{3600} \approx 0.042 \, \text{시간} \]

    즉, 5μm 두께의 구리 도금층을 얻으려면 10A 전류로 약 151초 (약 2.5분) 동안 도금해야 합니다.

    도금 시간 계산기

    3. 전류 밀도 계산

    전류 밀도는 도금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입니다.

    계산식:

    \[ J = \frac{I}{A} \]

    • J (A/cm²): 전류 밀도
    • I (A): 전류
    • A (cm²): 도금할 표면적

    실무 예제:

    100cm²의 표면에 10A 전류를 사용한다면:

    \[ J = \frac{10}{100} = 0.1 \, \text{A/cm}^2 \]

    전류 밀도는 0.1A/cm²입니다.

    전류 밀도 계산기

    4. 도금에 필요한 금속량 계산

    도금을 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금속이 필요한지 계산할 수 있습니다.

    계산식:

    \[ W = \frac{I \times t \times E \times \eta}{F} \]

    • W (g): 필요한 금속량
    • I (A): 전류
    • t (s): 도금 시간
    • E (g/mol): 도금 금속의 화학당량
    • F: 패러데이 상수 (96,485 C/mol)
    • η: 도금 효율 (소수로 표현)

    실무 예제:

    10A 전류로 구리를 1시간(3600초) 동안 도금할 때 필요한 금속량은?

    \[ W = \frac{10 \times 3600 \times 31.775 \times 0.9}{96,485} \approx 10.638 \, \text{g} \]

    즉, 약 10.638g의 구리가 필요합니다.

    도금에 필요한 금속량 계산기

    5. 도금 두께와 표면적에 따른 금속 소비량 계산

    도금 두께와 표면적을 알고 있다면, 도금층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금속의 양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.

    계산식:

    \[ W = T \times A \times \rho \]

    • W (g): 필요한 금속량
    • T (cm): 도금 두께 (μm를 cm로 변환)
    • A (cm²): 도금할 표면적
    • ρ (g/cm³): 금속의 밀도

    실무 예제:

    100cm² 표면에 5μm 두께로 구리를 도금하려면?

    \[ W = \frac{5}{10,000} \times 100 \times 8.96 = 0.448 \, \text{g} \]

    즉, 0.448g의 구리가 필요합니다.

    금속 소비량 계산기

    6. 참고: 도금 공정에서 자주 쓰이는 데이터

    아래 표는 도금에 사용되는 금속들의 원자량, 전하수, 화학당량, 밀도를 정리한 것입니다.

    금속 원자량 M (g/mol) 전하수 n 화학당량 E (g/mol) 밀도 ρ (g/cm³)
    구리 (Cu) 63.55 2 31.775 8.96
    니켈 (Ni) 58.69 2 29.345 8.91
    금 (Au) 196.97 3 65.657 19.32
    아연 (Zn) 65.38 2 32.69 7.14
    은 (Ag) 107.87 1 107.87 10.49

    7. 실무에서 유용한 팁

    1. 패러데이 효율을 고려하세요.
      실제 도금 공정에서는 도금 효율이 100%가 아닙니다. 일반적으로 80~95%의 효율을 가집니다.
    2. 도금액 농도를 유지하세요.
      도금액의 금속 이온 농도가 낮아지면 도금 속도가 느려집니다. 정기적으로 도금액을 보충하세요.
    3. 전류 밀도를 조절하세요.
      전류 밀도가 높으면 도금 속도가 빨라지지만, 표면 거칠기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.
    728x90
    반응형
Designed by Tistory.